기초적인 내장함수에 관한 내용이다.
print(val, end='\n or (space)') 를 잘 사용해보자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Python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# 내장함수
### bool() : True, False 중 하나를 반환하는 내장함수. ###
bool(0) # False
bool(9) # True. 아무거나 0만 아니면 True로 나온다.
### str() : 매개변수를 문자열로 반환하는 내장함수. ###
str(2) # '2'. 문자열로 바꾼다.
str([1,2]) # '[1,2]'. 요런 것도 문자열로 바꾼다.
### set() :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내장함수. 특별한 {} 형태로 출력된다. ###
set('11') # {'1'}. java에서 사용하는 set과 같이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컨테이너
set('aaabbb') # {'a','b'} <- {}로 사전타입으로 보이지만 이건 그냥 set을 표현하는 방법일 뿐이다.
set(11111) # 내부에 int형은 못 들어간다. 에러난다.
### list() : 매개변수를 반복 간으한 자료형만 받을 수 있고 그걸 리스트로 만들어서 반환하는 내장함수. ###
list('abcd') # ['a','b','c','d'] 리스트로 만들어준다.
list((1,2,3)) # [1,2,3]
### tuple() : 반복 가능한 자료형을 매개변수로 받아 튜플로 반환하는 내장함수. ###
tuple('abc') # ('a','b','c') 튜플로 만들어준다.
### dict() : 특정한 형태의 매개변수를 사전타입으로 바꿔주는 내장함수. ###
dict(a = 'one') # 사전을 만든다. 왼쪽이 키, 오른쪽이 값이다. 이런 형식에서는 키가 무조건 문자여야한다.
dict((1,'one')) # 안이 튜플이라서 안 된다.
dict([(1,'one')]) # 키의 예외1. 이걸로 만들면 숫자를 키로 만들 수 있다. 리스트를 사전으로 바꾼다.
dict({1:'one'}) # 키의 예외2. 이걸로 만들면 숫자를 키로 만들 수 있다. 사전을 사전으로 바꾼다.
### range(a,b,c) : a부터 b까지 c씩 증가. 여기서 인덱스가 0부터 시작하므로 b-1까지만 센다. ###
list(range(10)) # [0, 1, 2, 3, 4, 5, 6, 7, 8, 9] b만 인식되는 경우
list(range(1,10)) # [1, 2, 3, 4, 5, 6, 7, 8, 9] a,b가 인식되는 경우
list(range(2,10,3)) # [2, 5, 8] a,b,c 전부 사용
list(range(-5, 10, 2)) # [-5, -3, -1, 1, 3, 5, 7, 9] 음수도 가능
### zip() : 두 자료를 묶어주는 내장함수. ###
list(zip([1, 2, 3], [4, 5, 6])) # [(1, 4), (2, 5), (3, 6)]
list(zip([1, 2, ], [4, 5, 6])) # [(1, 4), (2, 5)]
### eval() : 문자열을 입력받아 문자열의 실행시키는 내장함수. ###
eval("1+2") # 3
eval("divmod(4,3)") # (1,1)
### all() : 한 개라도 False면 전체가 False로 반환되는 내장함수. and라고 인식하면 편하다. ###
all([1, 2, 3]) # True
all([1, 2, 0]) # False : 0이 들어갔기 때문에 False
### any() : 모든 요소가 False여야 False로 반환되는 내장함수. or라고 인식하면 편하다. ###
any([1, 2, 3, 0]) # True
any([0, '']) # False
### enumerate() : 순차적으로 처리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내장함수. 리스트, 튜플, 문자열을 매개변수로 받는다. ###
for i, name in enumerate(['a', 'b', 'c']):
print(i,name) # i는 인덱스로 사용. name은 a,b,c가 들어간다. 반복 횟수는 in 뒤의 리스트 길이를 사용.
'''
0 'a'
1 'b'
2 'c'
'''
### len() : 길이를 알아보는 내장함수. ###
len('abcdef') # 6
len([1,2,3,4,5,6]) # 6
len({1:2, 3:4, 5:6}) # 3 사전 타입의 경우 키값의 갯수만 센다.
### min() : 최소값을 찾는다. 문자열의 경우 알파벳 등의 순서로 구분한다. ###
### max() : 최대값을 찾는다. 문자열의 경우 알파벳 등의 순서로 구분한다. ###
min('가나다라마') # 최소 : '가'
max('가나다라마') # 최대 : '마'
min('Aa') # 최소 : 'A'
max('zZ') # 최대 : 'z'
### reversed() : 역순으로 바꿔주는 내장함수 ###
### sorted() : 순서대로 정렬해주는 내장함수 ###
a = [0,1,5,31,351,84,8,53,12,2]
list(reversed(a)) # [2, 12, 53, 8, 84, 351, 31, 5, 1, 0]
list(sorted(a)) # [0, 1, 2, 5, 8, 12, 31, 53, 84, 351]
### chr() : 아스키코드의 값을 문자로 바꿔준다. ###
### ord() : 문자를 아스키코드 값으로 변환한다. ###
chr(65) # 'A'
ord('A') # 65
### input() : 콘솔을 통해 입력을 받는 내장함수. ###
a = input('숫자를 입력해주세요.')
'''
숫자를 입력해주세요.
>?
'''
### repr() : 매개변수의 인코딩 형식까지 같이 넘겨서 반환하여 인쇄 가능한 표현을 포함하는 문자열을 반환하는 내장함수. ###
repr(0.3) # '0.3'
repr('asdf') # "'asdf'"
### print(매개변수, sep='', end='\n', file=sys.stdout, flush=False) : 표준 출력하는 내장함수. ###
for i in range(1,4):
print(i, end=' ')
'''
1 2 3
'''
for i in range(1,4):
print(i,end='\n')
'''
1
2
3
'''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Python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'프로그래밍 > Python, R 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Python 3일차 (0) | 2018.05.14 |
---|---|
[R] R 3일차 (0) | 2018.05.14 |
[R] R 2일차 (0) | 2018.05.11 |
[R] R 1일차 (0) | 2018.05.10 |
[Python] Python 1일차 (0) | 2018.05.10 |